안녕하세요? 품격있고 좋은이름... 아가사랑작명원입니다. 홈으로  |  즐겨찾기    
  • 사주의 의미
  • 사주학(四柱學)은 우주 대자연의 진리를 학문적으로 구성한 것으로 명리학(命理學) 또는 추명학(推命學)이라고도 합니다. 사람이 태어난 생년월일시의 네 기둥 즉 년주(年柱), 월주(月柱), 일주(日柱), 시주(時柱)를 사주라고 합니다. 한 기둥 마다 음양오행(陰陽五行)의 부호인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두 글자씩 모두 여덟 글자로 되어 이를 사주팔자(四柱八字)라고 합니다.
  • 사주를 이해하려면 우선 사주팔자(四柱八字)가 작성되는 이치를 알아야 합니다. 사주는 인간이 태어나면서 처음 접하게 되는 우주의 기운(氣運) 가운데 어떤 기운을 받아들였는가 하는 것을 음양오행 육십갑자(六十甲字)를 통해 나타낸 것으로서, 인생의 각본(刻本)이나 설계도(設計圖)와 같은 것입니다.
  • 사주(命)는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으로 세월의 흐름 즉 시간(運)과 조화를 이루게 됩니다. 이처럼 사주(四柱)와 운(運)은 불가분(不可分)의 관계로서 인간사의 길흉화복(吉凶禍福)으로 전개되는데 이것을 운명(運命)이라고 합니다.
  • 사람의 한평생이란 푸른 하늘에 한 조각 흰 구름이 피어 올랐다가 사라지듯 덧없이 흐를 수도 있겠으나, 사주를 학문으로 올바르게 이해하고 활용한다면 삶 또한 한결 지혜로워 질 수 있습니다.
  • 사주의 구성
  • 구분 년주(年柱) 월주(月柱) 일주(日柱) 시주(時柱)
    근묘화실 근(根) 묘(苗) 화(花) 실(實)
    육친(六親) 조상 부모,형제 자신, 배우자 자식
    격(格) 원격(元格) 형격(亨格) 이격(利格) 정격(貞格)
  • 년주(年柱)
  • 년주는 태어난 해의 간지(干支)를 말합니다. 즉 갑자년에 태어났으면 갑자(甲子)가 년주이고, 을축년에 태어났으면 을축(乙丑)이 년주가 됩니다. 사주학에서는 년(年)이 바뀌는 시점을 그해 1월 1일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입춘절기(入春節氣)를 기준으로 합니다. 따라서 양력 1월 10일에 태어났다 하더라도 입춘절기 이전이므로 사주에서는 전년의 년주(年柱)를 사용하며, 입춘(入春)이 지나서야 비로소 새해의 년주를 적용합니다.
  • 월주(月柱)
  • 년주를 세운 후 태어난 달의 간지를 월주(月柱)로 정합니다. 월주도 년주와 마찬가지로 매월의 절기(節氣)를 기준으로 하여 정합니다. 월주에서 특히 월지(月支)는 월령(月令)이라고도 하며 사주에서 매주 중요하게 다룹니다.
  • 일주(日柱)
  • 출생한 날의 간지를 일주(日柱)로 정합니다. 일주는 일간(日干)과 일지(日支)로 구성되는데 특히 일간(日干)은 자기 자신에 해당하며 사주추명(四柱推命)에 중심이 됩니다.
  • 시주(時柱)
  • 시주는 출생한 시간(時間)을 기준으로 정합니다. 우리나라의 표준시는 1961년 8월 10일 이후부터 동경 135도를 기준으로 정했습니다. 서울의 경도는 127도로 일본 동경의 135도와 비교하면 약 30분 정도 빠릅니다. 예를 들어 동경 137도에서 13:00는 서울의 실제 시간으로는 12:30로 됩니다. 이러한 오차는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생기는 현상인데, 각 지역별로 동경 표준시와 실제 적용해야 할 시간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본원에서는 보다 정확한 추명(推命)을 위해 동경표준시와의 오차를 반영하며, 조자시(朝子時)와 야자시(夜子時)를 엄격히 구분해서 적용합니다.
  • 구분 시간 구분 시간
    자시(子時) 23 : 30 - 01 : 29 오시(午時) 11 : 30 - 13 : 29
    축시(丑時) 01 : 30 - 03 : 29 미시(未時) 13 : 30 - 15 : 29
    인시(寅時) 03 : 30 - 05 : 29 신시(申時) 15 : 30 - 17 : 29
    묘시(卯時) 05 : 30 - 07 : 29 유시(酉時) 17 : 30 - 19 : 29
    진시(辰時) 07 : 30 - 09 : 29 술시(戌時) 19 : 30 - 21 : 29
    사시(巳時) 09 : 30 - 11 : 29 해시(亥時) 21 : 30 - 23 : 29
  • 사주학의 역사
  • 사주학의 역사는 고대 중국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주역(周易)에 의한 음양(陰陽) 학설이 춘추전국시대를 지나면서 오행(五行) 학설로 발전하여 전해지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생년월일시의 간지(干支)를 가지고 시간을 기록한 것은 동한(東漢) 순재(順宰) 서기126년 이후의 일입니다.
  • 이론의 정립
  • 당나라 말 송나라 초 이허중(李虛中)선생은 년주의 납음(納音)으로 운명을 판단하는 이론을 세웠으며, 서자평(徐子平)선생은 년주 중심의 사주학을 일간(日干)중심으로 판단하는 이론을 창안했습니다. 그의 후예 서대승(徐大升)선생은 연해(淵海)라는 사주학의 저서와 함께 서자평선생의 일간중심 이론을 완성했으며 그후 당금지라는 사람이 연해와 비결집 연원(淵原)을 합본하여 연해자평(淵海子平)이라는 책을 저술했습니다. 이 책은 격국론과 시결론, 신살론 등이 방대하게 수록되어있고, 초학자가 보기는 어려운 점이 있으나 고전(古典)으로 훌륭한 지침서의 하나로 사주의 이론을 정립한 책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 이론의 발전
  • 명나라때는 사주학이 이론적으로 발전한 시기로 볼 수 있는데 장남(張楠)선생은 명리정종(命理正宗)을 저술하였고 서대승선생이 지은 연해자평의 부족분을 보충하였고, 만육오(萬育吾)선생은 삼명통회(三命通會)를 저술했습니다. 무엇보다 명나라 개국공신이던 유백온(劉白溫)선생은 명리학의 보서(寶書)라 칭하는 적천수(滴天隨)를 저술했습니다. 사주학(四柱學), 자평명리학(子平命理學)이 기틀을 잡고 꽃피운 청대(淸代) 초엽에는 진소암(陳素菴)선생이 적천수 원본을 주해한 적천수집요(滴天隨輯要)를 저술했고 청나라 중엽에 심효첨(沈孝瞻)선생은 자평명서의 삼대 보서(寶書)인 자평진전을(子平眞詮) 완성했습니다.
  • 임철초(任鐵樵) 선생은 적천수에 주석을 달아 적천수천미(滴天隨闡微)를 저술했으며, 1935년 서락오(徐樂吾)선생은 난강망(欄江網)이라는 책에 주석을 달아 궁통보감 (窮通寶鑑)을 펴냈고 적천수징의(滴天隨徵義)를 출간하였는데 적천수천미(滴天隨天微)에서 진소암선생의 주석부분을 삭제한 것입니다. 그후 적천수보주(滴天 隨補註)라는 책을 편찬했으며 자평수언(子平粹言)을 저술했습니다. 또 원수산(袁樹珊)선생은 명리탐원(命理探原)과 명보(命普)를 저술했습니다.
  • 근대 사주학
  • 근대에 와서 위천리(韋千里)선생이 저술한 명학강의(命學講義)와 팔자제요(八字提要)는 사주학의 깊이를 더해주는 서적으로 평가되며, 오준민(吳俊民)선생의 명리신론(命理新論), 화제관주(花堤館主)의 명학신의(命學新義), 하건충선생의 팔자심리학(八字心理學) 또한 많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한국의 사주학
  • 한국의 도계(陶溪) 박재완(朴在玩)선생은 위천리의 명학강의를 번역하여 명리요강(命理要綱) 이론서로 저술했고 위천리의 팔자제요(八字提要)를 번역, 일지론(日支論)을 첨가하여 명리사전(命理辭典)을 만들었다. 자강(自彊) 이석영(李錫暎)선생은 6권으로 된 사주첩경(四柱捷徑)을 저술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언론사추천 작명소 아가사랑작명원